프레데리크 미스트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1830년 프랑스 남부에서 태어난 프로방스어 시인으로, 프로방스 문화와 언어 부흥에 헌신했다. 그는 펠리브리주를 창립하여 오크어의 발전을 도모하고, 프로방스어의 표기법을 제정했으며, 1878년부터 1886년까지 2권으로 된 오크어-프랑스어 사전인 《펠리브리주 보물》을 편찬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장시 《미레이유》가 있으며, 1904년에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미스트랄은 아를 박물관을 건립하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는 등 프로방스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문헌학자 - 조르주 뒤메질
프랑스의 비교종교학자이자 인도유럽학자인 조르주 뒤메질은 인도유럽 신화와 사회 구조 연구, 특히 사회를 사제, 전사, 생산자로 구분하는 삼기능 가설로 알려져 있으며, 학계에서 높은 명성을 얻었으나 정치적 성향에 대한 논쟁도 있다. - 프랑스의 문헌학자 - 앙투안 메이예
프랑스의 언어학자 앙투안 메이예는 역사 언어학과 인도유럽어족 비교 연구에 기여하고 문법화 개념을 정립했으며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비교언어학 강사로 활동하며 호메로스 연구에 영향을 미치고 국제 보조어 연구에도 참여했고, 『인도유럽어 연구 입문』, 『라틴어 어원 사전』 등의 주요 저서를 남겼다. - 부슈뒤론주 출신 - 알랭 베르나르
프랑스의 전직 경영 수영 선수인 알랭 베르나르는 올림픽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신기록을 경신했으며, '렉키프 올해의 챔피언'과 'RTL 올해의 챔피언'으로 선정, 프랑스 국가 공훈 훈장 사령관이 되었고, 프랑스 국가헌병대에서 복무했다. - 부슈뒤론주 출신 -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는 프랑스 출신으로 조선의 제2대 사도 대목구장이며 기해박해 때 순교하여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옥시타니아인 - 가브리엘 포레
가브리엘 포레는 프랑스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육자로서, 프랑스 가곡의 거장으로 불리며 파반느, 레퀴엠,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야상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옥시타니아인 - 칼 14세 요한
칼 14세 요한은 프랑스 출신 군인으로 스웨덴 왕세자가 되어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동군 연합을 이루고 중립 외교와 근대화를 추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조제프 에티엔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출생일 | 1830년 9월 8일 |
출생지 | 마이얀, 프랑스 |
사망일 | 1914년 3월 25일 |
사망지 | 마이얀,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시인 |
사용 언어 | 프로방스어 |
서명 | Signature Frédéric Mistral.png |
학력 | |
모교 |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
수상 | |
수상 내역 | 노벨 문학상(1904) |
2. 생애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1830년 남프랑스의 마이얀에서 부유한 지주 농부[1]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프랑수아 미스트랄은 생레미드프로방스 출신이었고,[1] 어머니는 아델라이드 풀리네였다.[1] 1471년 초 그의 조상인 메르메 미스트랄은 마이얀에 살았으며,[1] 1588년까지 미스트랄 가족은 생레미드프로방스에 살았다.[1] 미스트랄은 "내 부모가 교제할 당시 사랑의 심부름을 달콤하게 해주었고 얼마 후 일사병으로 죽은 가난한 소년을 기억하여" 프로방스어 이름 "프레데리"를 받았다.[2]
미스트랄은 아홉 살쯤 되어서야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고, 곧 무단결석을 하기 시작하여 부모는 그를 도나 씨가 운영하는 생미셸드프리고레의 기숙학교에 보냈다. 이후 아비뇽의 왕립대학(이후 프레데릭 미스트랄 학교로 개명)을 거쳐,[7] 니스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1848년부터 1851년까지 엑상프로방스에서 법학을 공부하며 프로방스의 독립과 프로방스어 복원을 위해 노력했다.[7] 그는 엑상프로방스에서 프로방스의 역사를 공부했다. 아버지로부터 해방된 미스트랄은 "프로방스에서 인종의식을 일으키고 부활시키고…; 국가의 자연적이고 역사적인 언어의 복원으로 이러한 부활을 촉진하고…; 신성한 시의 숨결과 불꽃으로 프로방스에 유행을 되돌릴 것"이라고 결심했다. 미스트랄에게 인종이라는 단어는 "언어로 연결되고 한 국가와 한 이야기에 뿌리를 둔 사람들"을 의미한다.
1851년 엑상프로방스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한 미스트랄은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특별히 직업을 가져야 할 필요가 없었기에 일찌감치 프로방스의 문화와 언어 부흥을 위해 힘쓰기로 결정했다.[7] 미스트랄이 프로방스의 언어에 관심을 가지게 된 데에는 아비뇽에서 학교를 다닐 때에 조세프 루마닐을 만났던 것이 계기로 작용했다.[7] 미스트랄은 조세프 루마닐과 다른 5명의 프로방스 시인들과 힘을 합쳐 1854년 5월 21일 문학 및 문화 협회인 펠리브리주를 설립했다.[7] 펠리브리주는 오크어의 발전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사벨 2세에 의해 쫓겨난 스페인의 카탈루냐 시인들도 참여했다.
1854년 프로방스와 오시타니아 전체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 진흥하기 위한 조직인 펠리브리지를 세웠다. 미스트랄은 트루바두르들의 오크어 문학전통을 부흥하기 위해 그 자신이 오크어로 많은 작품을 썼으며, 1878년에는 2권짜리 사전을 편찬했다. 펠리브리주의 설립자 7명은 조제프 루마니우,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테오도르 오바넬, 앙셀름 마튀, 장 브뤼네, 앙포스 타방, 폴 지에라였다. 펠리브리주는 랑그 독의 32개 지역에서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문화 단체 중 하나로, 오늘날까지도 존재한다.
미스트랄은 오크어 부흥운동을 하며 프랑스어의 철자법에 맞춘, "미스트랄 표기안"이라는 오크어의 새로운 표기법을 만들어 냈는데, 현재까지도 중세의 표기법에 기준한 "표준안"과 병용되고 있다. 그는 사전을 만들고 트루바두르들의 노래를 기록하여 가장 순수한 형태로 언어를 재정립했다.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1876년 디종 대성당(Cathédrale Saint-Bénigne de Dijon)에서 부르고뉴 출신 여성인 마리루이즈 리비에르(Marie-Louise Rivière, 1857~1943)와 결혼했다.[7] 그들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7] 미스트랄은 1914년 3월 25일 자신이 태어난 마이얀에서 사망했다.[7]
프로방스 언어 복원을 위한 평생의 노력으로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의 두 교수의 추천을 받아 190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3][4] 그해 다른 수상자인 호세 에체가라이는 스페인 희곡으로 영예를 안았다. 그들은 상금을 똑같이 나누었다.[5] 미스트랄은 상금으로 아를에 아를 박물관(뮤제옹 아를라탱)을 건립했다.[5] 이 박물관은 가구, 의상, 도자기, 도구 및 농기구를 전시하는 프로방스 민속 예술의 가장 중요한 컬렉션으로 여겨진다. 또한 미스트랄은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는데, 이는 국가 차원의 업적에 수여되는 것으로, 그의 프로방스적인 작품과 업적을 고려할 때 이례적인 일이었다.[5]
2. 1. 유년 시절과 교육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1830년 남프랑스의 마이얀에서 부유한 지주 농부[1]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프랑수아 미스트랄은 생레미드프로방스 출신이었고,[1] 어머니는 아델라이드 풀리네였다.[1] 미스트랄은 "내 부모가 교제할 당시 사랑의 심부름을 달콤하게 해주었고 얼마 후 일사병으로 죽은 가난한 소년을 기억하여" 프로방스어 이름 "프레데리"를 받았다.[2]미스트랄은 아홉 살쯤 되어서야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고, 곧 무단결석을 하기 시작하여 부모는 그를 도나 씨가 운영하는 생미셸드프리고레의 기숙학교에 보냈다. 이후 아비뇽의 왕립대학(이후 프레데릭 미스트랄 학교로 개명)을 거쳐,[7] 니스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1848년부터 1851년까지 엑상프로방스에서 법학을 공부하며 프로방스의 독립과 프로방스어 복원을 위해 노력했다.[7] 엑상프로방스에서 프로방스의 역사를 공부한 그는 "프로방스에서 인종의식을 일으키고 부활시키고…; 국가의 자연적이고 역사적인 언어의 복원으로 이러한 부활을 촉진하고…; 신성한 시의 숨결과 불꽃으로 프로방스에 유행을 되돌릴 것"이라고 결심했다. 미스트랄에게 인종이라는 단어는 "언어로 연결되고 한 국가와 한 이야기에 뿌리를 둔 사람들"을 의미한다.
2. 2. 펠리브리주 창설과 활동
1851년 액상프로방스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한 미스트랄은 일찌감치 프로방스의 문화와 언어 부흥을 위해 힘쓰기로 결정했다.[7] 미스트랄은 조세프 루마닐과 다른 5명의 프로방스 시인들과 힘을 합쳐 1854년 5월 21일 문학 및 문화 협회인 펠리브리주를 설립했다.[7] 펠리브리주는 오크어의 발전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사벨 2세에 의해 쫓겨난 스페인의 카탈루냐 시인들도 참여했다.펠리브리주의 설립자 7명은 조제프 루마니우,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테오도르 오바넬, 앙셀름 마튀, 장 브뤼네, 앙포스 타방, 폴 지에라였다. 펠리브리주는 랑그 독의 32개 지역에서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문화 단체 중 하나로, 오늘날까지도 존재한다.
미스트랄은 프로방스어를 서사시의 최고 경지로 끌어올리면서 이 언어의 복권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사전을 만들고 트루바두르들의 노래를 기록하여 가장 순수한 형태로 언어를 재정립했다. 그는 프랑스어의 철자법에 맞춘 "미스트랄 표기안"이라는 오크어의 새로운 표기법을 만들어 냈는데, 현재까지도 중세의 표기법에 기준한 "표준안"과 병용되고 있다.
2. 3. 결혼과 말년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1876년 디종 대성당(Cathédrale Saint-Bénigne de Dijon)에서 부르고뉴 출신 여성인 마리루이즈 리비에르(Marie-Louise Rivière, 1857~1943)와 결혼했다.[7] 그들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7] 미스트랄은 1914년 3월 25일 자신이 태어난 마이얀에서 사망했다.[7]프로방스 언어 복원을 위한 평생의 노력으로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190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3][4] 미스트랄은 상금으로 아를에 아를 박물관(뮤제옹 아를라탱)을 건립했다.[5] 이 박물관은 프로방스 민속 예술의 중요한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5] 또한 미스트랄은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는데, 이는 국가 차원의 업적에 수여되는 것으로, 그의 프로방스적인 작품과 업적을 고려할 때 이례적인 일이었다.[5]
3. 작품 세계
1859년에 출간된 ''미레이유''는 미스트랄이 8년간의 노력 끝에 완성한 프로방스어 장시이다. 12개의 노래로 구성된 이 작품은 뱅상과 미레이유라는 두 젊은 프로방스 남녀의 좌절된 사랑을 다룬다. 미레이유는 프로방스어로 경이로움을 의미하는 단어 ''meraviho''에서 비롯되었다. 미스트랄은 이 작품을 통해 프로방스어를 알리고 프로방스 지역 문화를 공유하고자 했다. 그는 생트마리드라메르(Saintes-Maries-de-la-Mer)와 아를의 비너스(Venus of Arles) 등 지역의 전설과 역사적 장소에 대해 이야기한다. 시의 내용은 미레이유가 가난한 바구니 제작자 뱅상과 사랑에 빠지지만, 부모의 반대로 생트마리드라메르로 가서 성인들에게 기도하다 더위에 쓰러져 뱅상의 품에서 죽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다. 미스트랄은 이 책을 알퐁스 드 라마르틴(Alphonse de Lamartine)에게 헌정했고, 라마르틴은 이 작품을 "위대한 서사시"이자 "걸작"이라고 극찬했다. ''미레이유''는 프랑스어를 포함한 15개 유럽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1863년 샤를 구노(Charles Gounod)는 이 작품을 오페라 ''미레이유''로 만들었다.
그 외 주요 작품으로는 1867년 ''칼랑도(Calendau)'', 1876년 ''황금의 섬(Lis Isclo d’or)'', 1884년 ''네르토(Nerto)'', 1890년 희곡 ''라 레이노 자노(La Rèino Jano)'', 1897년 ''론 강의 시(Lou Pouèmo dóu Rose)'', 1906년 회고록 ''나의 근원(Moun espelido, Memòri e Raconte)'', 1912년 ''올리브 수확(Lis óulivado)'', 1878년~1886년에 출간된 ''펠리브리주 보물 또는 현대 오크어의 여러 방언을 포괄하는 프로방스어-프랑스어 사전'' 등이 있다. 1926년에서 1929년에는 전 3권의 단편집 ''아르마나의 시(Proso d’Armana)''가 출간되었다.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오늘날까지도 가장 종합적이고, 정확한 정의 덕분에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오크어 사전 중 하나인 『Lou Tresor dóu Félibrige』(1878~1886)의 저자이다. 이 사전은 두 권의 방대한 분량으로 된 오크어-프랑스어 이중 언어 사전으로, 프로방스어를 포함한 모든 ''oc'' 방언을 담고 있다. 미스트랄은 그 사전의 활자 및 교정 작업에 프랑수아 비달에게 빚지고 있다.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의 작품 표기는 다음과 같다.
- 1859년 미레이유 (PDF (프로방스어))
- 1867년 칼랑도 (온라인)
- 1876년 황금의 섬
- 1884년 네르토 단편소설 (온라인)
- 1886년-1921년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전집(6권)
- 1897년 론 강의 시 (온라인)
- 1906년 나의 근원 (회고록) (온라인)
- 1912년 올리브 수확 (온라인)
- 리지스클도르(Lis Isclo d’or) (1875) - 온라인: 1부, 2부
- 라 레이노 자노 희곡 (1890) (온라인)
- 디스쿠르 에 디쇼 (1906) (온라인)
- 라 제네시, 트라두쇼 앙 프로방소 (1910) (온라인)
- 펠리브리주 보물 또는 현대 오크어의 여러 방언을 포괄하는 프로방스어-프랑스어 사전(1878–1886) (온라인)
- 아르마나의 시(Proso d’Armana) (유작) (1926, 1927, 1930) (온라인)
- 쿠포 산토 (1867)
3. 1. 주요 작품
1859년에 출간된 ''미레이유''는 미스트랄이 8년간의 노력 끝에 완성한 프로방스어 장시이다. 12개의 노래로 구성된 이 작품은 뱅상과 미레이유라는 두 젊은 프로방스 남녀의 좌절된 사랑을 다룬다. 미레이유는 프로방스어로 경이로움을 의미하는 단어 ''meraviho''에서 비롯되었다. 미스트랄은 이 작품을 통해 프로방스어를 알리고 프로방스 지역 문화를 공유하고자 했다. 그는 생트마리드라메르(Saintes-Maries-de-la-Mer)와 아를의 비너스(Venus of Arles) 등 지역의 전설과 역사적 장소에 대해 이야기한다. 시의 내용은 미레이유가 가난한 바구니 제작자 뱅상과 사랑에 빠지지만, 부모의 반대로 생트마리드라메르로 가서 성인들에게 기도하다 더위에 쓰러져 뱅상의 품에서 죽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다. 미스트랄은 이 책을 알퐁스 드 라마르틴(Alphonse de Lamartine)에게 헌정했고, 라마르틴은 이 작품을 "위대한 서사시"이자 "걸작"이라고 극찬했다. ''미레이유''는 프랑스어를 포함한 15개 유럽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1863년 샤를 구노(Charles Gounod)는 이 작품을 오페라 ''미레이유''로 만들었다.그 외 주요 작품으로는 1867년 ''칼랑도(Calendau)'', 1876년 ''황금의 섬(Lis Isclo d’or)'', 1884년 ''네르토(Nerto)'', 1890년 희곡 ''라 레이노 자노(La Rèino Jano)'', 1897년 ''론 강의 시(Lou Pouèmo dóu Rose)'', 1906년 회고록 ''나의 근원(Moun espelido, Memòri e Raconte)'', 1912년 ''올리브 수확(Lis óulivado)'', 1878년~1886년에 출간된 ''펠리브리주 보물 또는 현대 오크어의 여러 방언을 포괄하는 프로방스어-프랑스어 사전'' 등이 있다. 1926년에서 1929년에는 전 3권의 단편집 ''아르마나의 시(Proso d’Armana)''가 출간되었다.
3. 2. 사전 편찬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은 오늘날까지도 가장 종합적이고, 정확한 정의 덕분에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오크어 사전 중 하나인 『Lou Tresor dóu Félibrige』(1878~1886)의 저자이다. 이 사전은 두 권의 방대한 분량으로 된 오크어-프랑스어 이중 언어 사전으로, 프로방스어를 포함한 모든 ''oc'' 방언을 담고 있다. 미스트랄은 그 사전의 활자 및 교정 작업에 프랑수아 비달에게 빚지고 있다.3. 3. 표기법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의 작품 표기는 다음과 같다.- 1859년 미레이유 (PDF (프로방스어))
- 1867년 칼랑도 (온라인)
- 1876년 황금의 섬
- 1884년 네르토 단편소설 (온라인)
- 1886년-1921년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전집(6권)
- 1897년 론 강의 시 (온라인)
- 1906년 나의 근원 (회고록) (온라인)
- 1912년 올리브 수확 (온라인)
- 리지스클도르(Lis Isclo d’or) (1875) - 온라인: 1부, 2부
- 라 레이노 자노 희곡 (1890) (온라인)
- 디스쿠르 에 디쇼 (1906) (온라인)
- 라 제네시, 트라두쇼 앙 프로방소 (1910) (온라인)
- 펠리브리주 보물 또는 현대 오크어의 여러 방언을 포괄하는 프로방스어-프랑스어 사전(1878–1886) (온라인)
- 아르마나의 시(Proso d’Armana) (유작) (1926, 1927, 1930) (온라인)
- 쿠포 산토 (1867)
4. 평가 및 영향
4. 1. 노벨 문학상 수상
4. 2. 문학적, 문화적 영향
5. 참고 문헌
6. 외부 링크
wikitext
7. 각주
wikitext
참조
[1]
논문
La généalogie de Mistral
1951
[2]
서적
Mes origines : mémoires et récits de Frédéric Mistral
Plon-Nourrit
1920
[3]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s://www.nobelpri[...]
2020-04-00
[4]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s://www.nobelpri[...]
2020-04-00
[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04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4-06-21
[6]
웹사이트
(5033) Mistral = 1975 RO2 = 1979 HT = 1981 UF18 = 1983 CP1 = 1988 FH1 = 1990 PF = 1990 RW9 = 1991 UU2
https://www.minorpla[...]
2022-08-09
[7]
웹사이트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http://navercast.nav[...]
2012-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